보건증이란??
위생과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건강진단서로, 근무환경에 따라 전염성 질환 여부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검사확인증 이다.
보건증 발급 항목
기존 전염성 피부질환( 한센병 검사)이 검사항목에서 사라지고, 파라티푸스가 추가 되었다.
1.흉부 X-ray 검사(결핵 )
:결핵은 감염병으로, 폐에서 발생할경우 주로, 기름,가래 ,객혈등 호흡기계 증상이 나타난다. 호흡기계증상과 전신증상(발열, 피로, 식욕부진,소화불량)이 2주리상 지속되면 결핵을 의심하고 결핵검사를 꼭 시행해야한다. 결핵균의 활동성 여부를 파악하고 진단하기 위해서 x-ray검사를 실시한다.
2.장티푸스 검사(대변검사)
:장티푸스는 오래된 음식,물, 살모넬라균에 의해 전파 감염될 수 있다. 음식물을 취급하는 직업에서 감염검사를 꼭 확인해야 한다.
3.파라티푸스 검사 (대변검사)
: 파라티푸스는 잠복기를 거쳐 발열과 발진,설사와 두통 증상을 동반하며, 전염성이 강하다.우리나라의 법정감염병의 제2급감염병으로 분리하며, 보건증 검사 내용에 추가되었다.
*직종에 따른 추가검사
- 간염 검사: A형 간염 항체 여부 확인(일부 지역/직종에 한정).
- 기타 항목: 피부 질환이나 기타 감염성 질환 여부 확인(필요 시).
보건증 검사가능 장소 및 발급가능 방법
1. 보건소
지역보건소는 보건증을 발급을 가장 저렴하에 발급할수있으며, 예약없이 가능합니다. 전국 모든 시,군,구 보건소에서 검사를 진행하며 발급은 약 5일정도 걸린다. (비용은 약 3천원 정도)
2.병원 및 의원
일부 지정병원과 의원에서도 보건증을 검사를 진행하며, 빠른 발급이 필요할때 이용한다. 병원에 따라 당일 및 익일발급(1~2일)을 해준다. 비용은 의료기관마다 다르므로 사전에 확인하면 좋을 듯 하다. (비용은 약 2 만원 이상~)
3. 건강검진센터
종합 검진센터와 검강검진 전문기관(대한산업협회)에서도 발급가능하다.발급일은 3~5일정도 걸린다.(비용은 약 8천원 이상/검사항목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기도 함)
보건증 검사방법
본인확인이 가능한 신분증 과 비용만 있으면 검사가능하다. 전일 금식 할 필요는 없다.
- 폐결핵 검사 : 흉부 X-ray 검사 엑스레이로 흉부 촬영검사를 하며,악세서리및 속옷을 벗고 가운을 입고 촬영하면된다.
-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 대변검사
채변봉을 이용하여(긴면봉) 항문에 넣어 대변을 묻혀서 제출하면된다. 변이 제대로 묻지않으면 재검사를 하게 될수도 있으니 한번할때 잘 하는게 좋다.
보건증 수령방법
-병원은 직접수령하며 신분증 지참해야한다.
-보건소는 직접수령 또는 정부24(www.gov.kr)에서 발급가능하며,간편인증을 통해
https://www.e-health.go.kr/ 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발급도 가능하다.
보건증이 필요한 직장 환경
위생 및 건강관리가 필요한 직업군에서 특히 감염 될 수있는 경로를 통한 직업군에서는 일정기간마다 보건증을 꼭 갱신해야한다.
식품 관련 | 의료 및 위생 관련 | 서비스업 | 교육 및 아동 |
|
|
|
|
보건증 발급 후 유효기간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의 유효기간은 대부분 1년이며,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30일 이내 검사가능합니다. 이는 2024년 1월 8일부터 적용되었습니다.
<직업별 보건증 갱신 주기>
일반 음식점, 식품 제조업 | 1년 | 요리사, 서빙 직원, 카페 직원 등. |
학교 /단체 급식 조리원 | 6개월/1년 | 학교(6개월), 병원, 기업체 등의 단체급식(1년) 조리 담당자. |
유흥업소 종사자 | 3개월 | 클럽, 노래방, 모텔 등에서 근무하는 직원. |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 1년 | 아동 돌봄 및 급식 관련 업무 종사자. |
미용업 종사자 | 1년 | 헤어디자이너, 피부관리사, 네일아티스트 등 위생 관리가 필요한 직종. |
목욕탕 및 사우나 직원 | 1년 | 목욕시설 및 스파 운영 직원. |
의료 및 요양 시설 종사자 | 1년 | 병원, 요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 보조 및 위생 관리 인력. |
유치원·어린이집 조리사 | 1년 | 어린이 대상 급식 조리 업무 담당자. |
일용직 식품 관련 근로자 | 6개월~1년 |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고용주의 요청에 따라 유효기간이 짧아질 수 있음. |
유효기간이 만료되기전에 꼭 체크해서
만료일 전 /후 30일 이내까지 검사를 받지 않으면
법적으로 위반이 될 수 있으니 꼭 챙기셔서 발급 받으실수 있도록
달력과 알람에 설정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용직 직장을 가지신 분들은 꼭 지갑에 넣고 다니시길 추천드립니다.
'정보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메추리 키우기, 작지만 특별한 반려동물 (2) | 2025.04.13 |
---|---|
아이들과 함께 병아리를 키워요 – 병아리 키우는 방법과 관리법 (0) | 2025.04.13 |
청년도약계좌 개설 방법 (2) | 2025.01.13 |
부가가치세 신고 (0) | 2025.01.11 |
연말정산이란?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