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톡톡

이재명 대통령 후보의 공약 총정리: 대한민국 미래를 바꿀 지역별 정책과 비전

by k-story25 2025. 5. 16.
반응형

 

수도권 공약 개요

1. 서울: 글로벌 경제 수도로 도약

  • 여의도 금융허브와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연결해 세계적인 금융·비즈니스 중심지 구축
  • 홍릉·상계는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세운상가·남대문·동대문·성수동은 도심 제조업 밸리 조성
  • 구로·금천·테헤란로·양재는 AI·IT 산업 밸리로 재편

2. 경기: 세계 반도체 산업 중심지 육성

  • 성남, 수원, 용인, 화성, 평택, 안성에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연구개발부터 생산까지 완결형 생태계)
  • 판교, 광교, 안산, 양주, 고양 등 테크노벨리를 IT, 바이오, 게임, 자율주행, 방위산업 특화 지역으로 육성
  • 접경지역 평화경제특구 조성 (평화산업·녹색산업 육성)

3. 인천: 글로벌 물류·바이오 메가 클러스터 구축

  • 공항·항만·배후도시 연계 글로벌 물류 허브 조성
  • 송도, 영종도, 시흥 일대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 육성
  • 인천항 동북아 모항크루즈 기반 강화 및 영상문화 복합클러스터 조성

4. 문화콘텐츠 및 MICE 산업 강화

  • 서울 상암, 도봉, 경기 파주·고양·판교·부천 지역 K-콘텐츠 산업 인프라 확충
  • 인천 송도 등에 UN 산하 국제기구 유치, 국제회의·전시·관광 중심지 육성

5. 주거환경 개선 및 신도시 개발

  • 1기 신도시(분당·일산·산본·중동·평촌) 및 수원, 용인, 안산, 인천 노후 계획도시 정비
  • 서울 노후 도심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용적률 상향 및 분담금 완화 추진
  • 제4기 스마트 신도시 개발로 청년·신혼부부용 주택 공급

6. 교통 인프라 확충: 수도권 1시간 경제권 구축

  • GTX-A·B·C 노선 차질 없이 추진 및 수도권 외곽과 강원 연장 지원
  • GTX-D·E·F 등 신규 노선 단계적 추진, 경기도 제안 GTX플러스 노선 검토
  • 인천·경기·강원 경강선 연결, 경기 북부 접경지 KTX·SRT 연장 운행

충청권 공약 개요

1. 세종 행정수도 완성 및 균형발전 중심지 조성

  • 충청권을 행정·과학 수도로 육성하여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 발전시킴
  • 세종시를 행정수도의 중심지로 완성

2. 국회 세종의사당 및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 임기 내 국회 본원 세종의사당 신설 추진
  •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 및 완전 이전 추진 (사회적 합의와 국민적 동의 필요)
  • 수도 이전과 유사한 사안으로 개헌 입장은 아직 미확정

3. 공공기관 이전 재개

  • 중단된 공공기관 세종 이전을 조속히 재개하여 지역 발전 가속화

4. 충청권 첨단산업벨트 구축 및 교통 인프라 확충

  • 충청권 첨단산업벨트 조성 추진
  • 청주공항 확장 계획
  • 대전세종오송~청주공항을 연결하는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착공 추진

 

전남권 공약 개요: AI산업과 미래 메가시티로 여는 호남 시대

1. 비전 및 목표

  • 호남권을 ‘국가의 보루’로 강조하며 지속가능한 미래 메가시티 조성
  • AI·에너지 산업과 농생명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호남 경제 부흥
  • 수도권 집중을 넘는 지역 균형 발전 실현

2. 핵심 공약 분야

  • AI 및 미래산업 육성
    • 광주에 고성능 반도체 기반 국가 AI 컴퓨팅 센터 확충
    • 미래 모빌리티, 금융산업 육성
    • 여수 친환경 고부가가치 화학산업 전환
    • 광양 수소환원제철 기술 도입
    • 목포 해상풍력 및 전기 선박 산업 집중 육성
  • 재생에너지 중심지 구축
    • 나주에 한국전력·한국에너지공대 중심 에너지 신산업 허브 조성
    • 새만금, 부안, 신안, 고흥, 여수 등 태양광·해상풍력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 전용 부두 및 배후단지 완성형 생태계 구축
    • ‘에너지 고속도로’ 신속 조성
    • 광주·전남·전북 RE100 산업단지 조성
    • 해남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
  • AI 스마트 농업 및 공공의료
    • 나주 AI 농업 지구, 영농형 태양광 확대 통한 기후·식량 위기 대응
    • 고부가가치 농생명 산업 육성
    • 전남·전북에 국립 의대 신설로 공공의료 인력 양성
  • 교통망 확충 및 연결성 강화
    • 호남고속철도 2단계 조기 완공, 전라선 고속철도 신속 추진
    • 광주-대구 달빛 철도, 전주-대구 고속도로 조속 추진
    •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 상생 지원

3. 기대 효과

  • AI와 재생에너지 융합으로 첨단 산업단지 조성
  • 농생명 산업과 공공의료 강화로 지역 균형 발전 촉진
  • 촘촘한 교통망으로 수도권·영남권과의 연계성 강화
  • 호남권의 경제 부흥 및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영남권 공약 개요

1. 부·울·경 메가시티 구상: 대한민국 해양 수도로 도약

  • 부산·울산·경남을 해양수도이자 융합 물류·산업 허브로 육성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 국내외 해운·물류 대기업 본사 및 R&D 센터 유치
  • 해운·물류 공공기관 이전 및 해사 전문 법원 신설
  • 지역 전략산업, 소재·부품·장비 기업, 스타트업에 성장 단계별 맞춤형 자금 지원
  • e스포츠 산업 중심지 육성
  • 가덕도 신공항 및 동남권 철도 사업 차질 없이 추진
  • 북극항로 개척, 쇄빙선 건조 지원 및 전문 인력 양성

2. 울산: 친환경 미래산업 선도도시

  • 자동차·석유화학·조선산업의 친환경 전환 집중 지원
  • 전기차·수소차 인프라 전국 확충
  • 완성차·부품 기업 미래차 산업 전환 지원 및 맞춤형 R&D, 고용 안전망 제공
  • 재생에너지 기반 친환경 석유화학 산업 육성

3. 경남: 우주·항공·방산과 스마트 조선 산업 메카

  • 제조업 디지털 전환 및 AI 기반 스마트 공장 확산 지원
  • 방산 부품 R&D 강화로 국산화 및 기술 자립도 향상
  • 항공·우주산업 육성 지원

4. 광역교통망 확충 및 30분대 생활권 실현

  • GTX급 광역교통망 구축
  • 부전역~마전역 복선전철 조기 개통
  • 부산양산울산선 광역철도 선도 사업 지원

구미(대구·경북) 공약 개요

1. 지역 인프라 확충

  • 철도·고속도로·에너지 기반 구축 약속
  • 수도권 GTX(광역급행철도) 모델 적용, 구미판 GTX 추진 가능성 제시
  • 수도권 집중 해소 및 지역 균형 발전 목표

2. 신재생에너지 ‘햇빛 연금 도시’ 구상

  • 구미를 태양광·풍력 중심지로 육성
  • 주민에게 발전 수익 배분하는 주민 지분형 발전 모델 도입 (전남 신안군 벤치마킹)
  • 재생에너지 기반 지역경제 구조 전환 추진

3. 실용주의 정치 메시지

  • 박정희 정책 계승과 김대중 정책 실천 조화 강조
  • 진영 논리 벗어나 “국민 먹고사는 문제 해결”에 집중

4. 경제적 효과 및 산업 생태계 구축

  • 교통망 확충 → 송전망 및 변전소 확장 → 전력 안정성 확보
  • 전력 인프라 기반 첨단 제조업(반도체·배터리 등) 유치 기대
  • 구미를 ‘중앙집중형 제조업 탈서울 실험지’로 육성

5. 핵심 키워드

  • 지역 균형 발전
  • 재생에너지 기반 수익 모델
  • 실용 정치
  • 장기적 산업생태계 조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