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톡톡

대구 아파트 공급분량(2025~2028년 부동산전망)

by k-story25 2025. 5. 31.
반응형

대구 아파트 시장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공급 물량과 미분양 상황,

매매 및 전세 수요 전망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는 주요 요인과 예측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아파트 공급 물량 (2025~2028년)

대구시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총 3만 5,000여 가구의 아파트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특히 북구, 수성구, 동구, 달서구 등 주요 지역에서 분양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으로, 나머지는 신규 택지 개발에 따른 것입니다.

 

🏗️ 대구 아파트 공급 현황 (2025~2028년)

분양 시기단지명지역세대수비고
2025년 2월 이안엑소디움에이펙스 달서구 감삼동 117 소형 평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2월 태왕아너스프리미어 북구 관음동 200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2월 화성파크드림구수산공원 북구 읍내동 520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3월 빌리브루센트(주상복합) 북구 칠성동 258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5년 4월 대구역자이더스타(주상복합) 북구 칠성동 424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5년 5월 힐스테이트대구역퍼스트2차 중구 태평로 174 소형 평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5월 힐스테이트대구역퍼스트 중구 태평로 216 소형 평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5월 힐스테이트동인(주) 중구 동인동 941 중대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6월 빌리브라디체(주) 달서구 본동 520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7월 해링턴플레이스감삼Ⅲ(주) 달서구 감삼동 363 소형 평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7월 태왕디아너스오페라(주) 북구 고성동 532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7월 힐스테이트서대구역센트럴(주상복합) 서구 비산동 762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5년 7월 두류스타힐스 서구 내당동 840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8월 두류역자이(주상복합) 서구 내당동 1,300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5년 10월 더팰리스트데시앙 동구 418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11월 영대병원역골드클래스센트럴(주) 남구 대명동 660 중대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11월 e편한세상동대구역센텀스퀘어 동구 322 소형 평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5년 11월 더샵동성로센트리엘(주상복합) 중구 공평동 392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5년 12월 달서롯데캐슬센트럴스카이(주) 달서구 본동 481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6년 2월 범어자이(주상복합) 수성구 범어동 399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6년 2월 힐스테이트칠성더오페라(주상복합) 북구 칠성동 577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6년 2월 힐스테이트대명센트럴2차(주상복합) 남구 대명동 977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6년 3월 달서푸르지오시그니처(주) 달서구 본리동 993 중대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6년 4월 대구역센트레빌더오페라(주상복합) 북구 칠성동 245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6년 4월 대명자이그랜드시티 남구 대명동 2,023 중대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6년 4월 힐스테이트동대구센트럴(주상복합) 동구 신천동 481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6년 6월 더샵달서센트엘로(주상복합) 달서구 본동 272 주상복합 형태, 상업시설 포함
2027년 6월 두산위브더제니스센트럴시티 북구 학정동 1,098 중대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7년 7월 대구금호워터폴리스대방디에트르 북구 641 중소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2028년 9월 범어자이르네 수성구 범어동 103 소형 평형 위주, 실거주 수요 타깃

대구시의 2025~2028년 분양 예정 아파트

 
 

출처: 대구시 아파트 입주 물량 정보


📉 미분양 전망

현재 대구의 미분양 물량은 약 3,000여 가구로,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그러나 2025년부터 2028년까지의 공급 증가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미분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공급 과잉이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미분양 물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매매 및 전세 수요 전망

  • 매매 수요: 대구의 아파트 매매 수요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수성구, 동구, 북구 등 인기 지역에서는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전세 수요: 전세 수요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청년층과 신혼부부의 주거 수요 증가, 전세가 상승 등의 요인에 기인합니다.

 

 


📈 대구 아파트 매매 전망 (2025~2028년)

연도매매 전망 요약
2025 공급 증가로 인한 가격 안정세 예상. 실거주 수요 중심으로 거래 활발.
2026 일부 지역에서 미분양 발생 가능성. 인기 지역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지속.
2027 공급 물량 감소로 인해 가격 상승 압력 증가. 수요 집중 지역에서 가격 상승 예상.
2028 안정세 유지.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 가능성 존재.

 

 

#대구아파트
#대구부동산
#대구아파트시세
#대구매매
#대구전세
#대구임대
#대구아파트매매
#대구전세정보
#대구부동산시장
#대구아파트분양
#대구아파트매매전망
#대구부동산전망
#대구2025
#대구아파트공급
#대구아파트미분양
#대구청약
#대구부동산투자
#대구매매전망
#대구지역별아파트
#대구부동산가격

반응형